http://www.wowlinux.co.kr/knowledge/qnaview.html?id=69019&view=1&db=qna&gpage=1


오라클 9i(Oracle9i (9.2.0)) 와 7.3 Paran R2 설치 설명서

작성자: 김효준
직업: 본인도 모름
연락처: jk@jktech.net
설치환경
서버: 7.3 Paran R2(레드헷 7.x 버전에서는 거의 설치 가능하다고 믿음 8.0에는 아직 못 해 봤음.)
오라클 버전: Oracle9i Database Release 2 Enterprise/Standard Edition for Intel Linux
오라클 받는 주소: http://otn.oracle.com/software/content.html
오라클 화일명:
lnx_920_disk1.cpio.gz (553,607,967 bytes)
lnx_920_disk2.cpio.gz (588,817,480 bytes)
lnx_920_disk3.cpio.gz (442,135,815 bytes)
설치방법: 여러가지 설치 방법이 존제하지만 쉽게 리눅스 시스템에 직접(원격이 아닌 로칼로)
설치한다. 특히 다운받은 오라클 파일을 시디로 만들지 않고 압축을 푼 후에 집접 설치 하는 방식이다.

들어가기전에.
몇년전 처음으로 오라클 8i를 리눅스(레드헷 6.2)에 성공적으로 설치를 했습니다.
그리고 몇 달후 릴리스된 레드헷 7버전에 오라클 8i를 인스톨 하면서 엄청난 삽질을 동반한
낙심에 고통받다가 오라클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포럼에서 레드헷 6.2버전에 오라클을 깔고
통째로 레드헷 7에다 카피를 하는 방법을 읽게되었습니다.
그리고 그런방식으로 오게 되었습니다.
솔직히 오라클 서버를 설치하는것은 거의 공포에 가깝습니다.
깔기도 전에 게시판의 비명소리들을 보면서 기가 죽으니깐요....
거기다 아직까지 확실히 레드헷 7.3(파란 R2)에 성공해서 올라온 메뉴얼이 없기에 망설이다가
http://www.puschitz.com/OracleOnLinux.shtml 사이트에서 Werner Puschitz씨가 적어놓은
메뉴얼을 보면서 깔기로 마음 먹었습니다.
아무조록 이 설치 메뉴얼을 보고 모두다 성공하시길 바라며 즐거운 리눅서의 삶을 영위하시가 바랍니다.


다음의 주소로 가서 오라클 파일을 받는다.
http://otn.oracle.com/software/products/oracle9i/htdocs/linuxsoft.html
3개의 오라클 파일들을 편한곳에(당근 오라클을 설치할 리눅스 서버...)에 저장한다.

저장한 디렉토리에서 받은 파일들을 다음과 같이 압축해제한다.
zcat lnx_920_disk1.cpio.gz | cpio -idmv
zcat lnx_920_disk2.cpio.gz | cpio -idmv
zcat lnx_920_disk3.cpio.gz | cpio -idmv

****************시스템 설정!******************
오라클 사에서 제공하는 리눅스 서버는 최소한 512MB의 메모리와 이의 두배에 또는 같은 양의 swap space가
필요하다고 기술하고 있습니다(최소 400MB의 swap space)

#grep Mem /proc/meminfo

필자의 컴퓨터
Mem:  261107712 257212416  3895296        0 54464512 178733056
MemTotal:      254988 kB
MemFree:          3804 kB
MemShared:          0 kB

다음의 명령으로 시스템의 스왑스페이스를 알아본다.
#cat /proc/swaps

필자의 컴퓨터
Filename                        Type            Size    Used    Priority
/dev/hda2                      partition      1052248 37752  -1

오라클을 설치하면서 가장 많이 일어나는 문제중 하나가 공용메모리 문제인것 같다.
다음의 명령문을 루트의 권한으로 실행하여 임시적으로 최대 공용 메모리를 만든다.
# cat /proc/sys/kernel/shmmax
33554432
# echo `expr 1024 * 1024 * 1024` > /proc/sys/kernel/shmmax
# cat /proc/sys/kernel/shmmax
1073741824


The Oracle Universal Installer requires up to 400 MB of free space in the /tmp directory. If you do not have enough space in the /tmp directory,  you can temporarily create a tmp directory in another filesystem. Here is how you can do this:
오라클 사에서 요구하는 사향중 하나가 /tmp 의 크기가 최소 400MB 이다. 필자는 그 이상 이였기에 이 절차는 거치지 않았다.
만약 본인의 시스템에 /temp의 크기를 조정해야 한다면 루트의 권한으로 다음과 같이 한다.
mkdir /<AnotherFilesystem>/tmp
chown root.root /<AnotherFilesystem>/tmp
chmod 1777 /<AnotherFilesystem>/tmp
export TEMP=/<AnotherFilesystem>/tmp          # used by Oracle
export TMPDIR=/<AnotherFilesystem>/tmp        # used by Linux programs like the linker "ld"

그리고 오라클의 설치가 끝난 후 다음과 같이 실행하여 원상태로 복구한다.(아직 설치도 않했는데.. ^^)
rmdir /<AnotherFilesystem>/tmp
unset TEMP
unset TMPDIR

오라클 설치에 필요한 파일은 다음과 같다.
gcc
cpp
glibc-devel
kernel-headers
binutils

# rpm -q gcc cpp glibc-devel kernel-headers binutils 으로 확인
만약 이중에 설치되지 않은 것이 있다면 http://rpmfind.net에서 최신 rpm으로 설치한다.
필자의 리눅스 서버에는 kernel-headers가 설치되어 있지 않았고
kernel-headers 인스톨시 glibc-kernheaders-2.4-7.14와 충돌 하여 에러가 났다.
만약 여러분의 시스템에도 이러한 문제가 있다면 필자처럼
#rpm -e --nodeps glibc-kernheaders-2.4-7.14
로 삭제후 설치하기 바란다.
참고로 rpm 설치의 명령어는
#rpm -i 페케지이름
이다.

자바 설치
Download JDK 1.3.1 or Blackdown 1.1.8_v3
http://java.sun.com

루트의 권한으로 다음과 같이 설치한다.
#bzip2 -dc jdk118_v3-glibc-2.1.3.tar.bz2 | tar xf - -C /usr/local
#ln -s /usr/local/jdk118_v3 /usr/local/java

자 이제 오라클 설치를 위한 리눅스 서버 준지가 끝이 났다.
이제부터 오라클을 설치하기 위해 본격적인 작업에 들어가 보자.

우선 루트의 권한으로 오라클을 설치할 사용자 계정부터 만들어야 한다.

#groupadd dba
#groupadd oinstall
#useradd -g oinstall -G dba oracle
#passwd oracle

오라클이 설치될 디렉토리를 만들자.
중요한것은 오라클이 설치될 곳에 충분한 공간이 있는지 확인해야한다.

루트의 권한으로 다음과 같이 명령어를 실행한다

#mkdir /opt/oracle
#mkdir /opt/oracle/product
#mkdir /opt/oracle/product/9.2.0
#chown -R oracle.oinstall /opt/oracle

#mkdir /var/opt/oracle
#chown oracle.dba /var/opt/oracle
#chmod 755 /var/opt/oracle

마지막 작업으로 우리가 만든 oracle계정으로 로그인 후
다음과 같은 명령문을 실행한다.
필자는 /home/oracle/.bash_profile 에 밑의 내용을 복사했다.
***가장 중요한것은 ORACLE_SID 항목이다.
지금은 중요하지 않지만 오라클 인스톨이 끝나고 DBCA(database configuration assistant)로
데이타베이스를 작성시 SID항목을 작성하는 절차가 있다. 이때 적어놓은 것을 꼭 ORACLE_SID
에 적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오라클 서버가 구동되지 않는다.


# Oracle Environment
export ORACLE_BASE=/opt/oracle
export ORACLE_HOME=/opt/oracle/product/9.2.0
export ORACLE_SID=test #중요! 나중에 꼭 바꾸어야 합니다.
export ORACLE_TERM=xterm
#export TNS_ADMIN= Set if sqlnet.ora, tnsnames.ora, etc. are not in $ORACLE_HOME/network/admin
export NLS_LANG=AMERICAN;
export ORA_NLS33=$ORACLE_HOME/ocommon/nls/admin/data
LD_LIBRARY_PATH=$ORACLE_HOME/lib:/lib:/usr/lib
LD_LIBRARY_PATH=$LD_LIBRARY_PATH:/usr/local/lib
export LD_LIBRARY_PATH
export LANG=c

# Set shell search paths
export PATH=$PATH:$ORACLE_HOME/bin

# CLASSPATH:
CLASSPATH=$ORACLE_HOME/JRE:$ORACLE_HOME/jlib:$ORACLE_HOME/rdbms/jlib
CLASSPATH=$CLASSPATH:$ORACLE_HOME/network/jlib



끝이 났으면 로그오프한 후에 다시 로그인 하자.

자 그럼면 아까 오라클 파일의 압축을 푼 곳으로 가서 시작을 하자.

#/앞축풀린디렉토리/Disk1/runInstalle

설치 관정은 오라클 사에서 한글로 제공하는 메뉴얼을 참고하기 바란다.
계인적으로 설치하는 것 까지 필자가 관섭할수는 없으니깐.... ^^;;
http://otn.oracle.co.kr/products/oracle9i/download/oracle9i_for_linux_install.doc

만약 인스톨 도중에 다음과 같은 에러가 나오면..
"Error in invoking target install of makefile /opt/oracle/product/9.2.0/ctx/lib/ins_ctx.mk"
필자도 이 에러가 나왔었다. 우선 아무것도 하지 말고 에디터로
$ORACLE_HOME/ctx/lib/env_ctx.mk 의 파일을 열고
"INSO_LINK =" 라는 곳을 찾아서 다음과 같이 끝에 추가한다.
$(LDLIBFLAG)dl
그리고 다시 Oracle Universal Installer로 돌아가서 retry를 클릭한다.

이 외의 에러가 발견되면
http://www.puschitz.com/OracleOnLinux.shtml
의 내용을 참조하기 바란다.

자 설치가 다 끝났다. 이제는
/opt/oracle/product/9.2.0/bin/ 에서 dbca 를 실행해서 데이타베이스를 만들어야 한다.
중요한것은 위에서 언급했듯이 데이타베이스 작성시 SID에 항목에 적어 놓은 항목을

ORACLE_SID=적어놓은SID이름
으로 해야 오라클 서버가 가동 된다는 것이다.
Posted by 큰바우
: